경상북도 경주 한옥, AP기기 설치를 안정적인 구조로 마무리한 시공 사례입니다.
경주시에 위치한 한옥 형태의 건물에서, 내부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개선하고자 무선 공유기 AP기기 설치 요청을 주셨습니다. 건물 구조 특성상 콘크리트 대신 목재와 흙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적인 시공 방식으로는 신호 감도 저하나 배선 노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고객님의 가장 큰 우려는 고풍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무선 신호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지에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는 사전 점검을 통해 기기 설치 위치와 배선 경로를 정밀하게 분석한 후, 한옥 구조에 적합한 설치 방식을 계획했습니다.
랜선은 기존 전력 배선을 따라 목재 기둥 안쪽을 활용해 배선하였고, 노출이 불가피한 구간은 원목 몰딩으로 마감하여 인테리어와 조화롭게 설계했습니다. AP기기는 천장 높이와 벽 간격, 출입문 방향 등을 고려해 신호가 집 전체에 골고루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했습니다. 또한,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모델을 사용해 기기의 내구성까지 확보했습니다.
설치 후에는 실내 전 구역에서 와이파이 속도와 신호 강도를 측정해 최적화 설정까지 완료하였으며, 고객님께서는 설치 후 외관도 깔끔하고 인터넷 속도도 체감되게 빨라졌다며 만족해하셨습니다.
한옥 구조의 숙소, 카페, 사무실 등에서도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하신 경우, 건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설계와 시공으로 깔끔하게 해결해드립니다. 경주시뿐 아니라 전국 어디든 문의 주시면 빠르게 방문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P119입니다.
이번에는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인테리어 예정 사무실 현장에서
전체 인테리어 시공이 들어가기 전, 미리 랜선을 구축하고
네트워크 장비를 배치한 사전 랜공사 작업을 소개드립니다.
현장은 아직 천장 마감, 벽면 마감 등이 들어가기 전 단계로
네트워크 선로를 구조 안쪽으로 매립하거나 정리하기에
최적의 타이밍이었고, 이를 감안해 작업을 계획했습니다.
우선 전체 자리 수에 맞춰 CAT.6 UTP 케이블로 총 24회선을
각 책상과 장비 위치로 배분하였고, 실내 벽면 틀 내부를 통해
선로가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도록 매립 구조를 활용했습니다.
천장 구조물에는 천공이나 추가 덕트 설치 없이, 포설 가능한
기존 전선관이나 석고 틀 사이로 선을 넣는 방식으로 작업하여
추후 천장 마감 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을 마쳤습니다.
벽면 구간에는 회색 몰드 자재를 이용해 선을 고정하고
아울렛 단자는 책상 측면과 가까운 위치에 정밀하게 부착하여
사용자 접근성과 미관을 동시에 고려한 배치를 완성했습니다.
각 회선은 수납장 내부에 마련된 허브 장비와 연결되며,
포트마다 장비명으로 라벨링을 적용해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했고,
노트북으로 각 포인트의 IP 및 인터넷 신호를 실시간 테스트했습니다.
이처럼 인테리어 공사 전 단계에서 선로를 먼저 구축하면
벽체 타공이나 외부 노출 없이 깔끔한 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전체 네트워크 흐름도 명확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홍제동 사무실 랜공사는 구조 마감 전 미리 배선해
사무실 전체 네트워크 안정성과 정돈된 미관을 확보한
사례였습니다.
#홍제동랜공사 #사무실랜공사 #홍제동사무실랜공사 #랜공사 #사무실랜공사작업